https://transferhwang.tistory.com/102
[Spring] 의존 객체 자동주입
의존 객체 자동 주입이란 스프링 설정 파일에서 의존 객체를 주입할 때 또는 태그로 의존 대상 객체를 명시하지 않아도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필요한 의존 대상 객체를 찾아서 의존 대상
transferhwang.tistory.com
https://libtv.github.io/spring-num7
자동객체주입은 @AutoWired와 @Resource 가 있다.
@AutoWired는 생성자, Property, method 사용 가능하며 bean 객체의 Class로 구별하여 의존객체를 자동적으로 주입한다.
@Resource는 Property, method 사용 가능하며 bean 객체의 id를 구별하여 의존객체를 자동적으로 주입한다.
- 의존 객체 자동 주입(Automatic Dependency Injection)스프링 설정 파일에서 혹은 태그로 의존 객체 대상을 명시하지 않아도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적으로 의존 대상 객체를 찾아 해당 객체에 필요한 의존성을 주입하는 것
- @Resource
- Java에서 지원하는 어노테이션
- 특정 프레임워크에 종속적이지 않음
- 찾는 순서: 이름 -> 타입 -> @Qualifier -> 실패
- <context:annotation-config/> 구문을 꼭 xml 설정파일에 추가해야함
- 사용할 수 있는 위치: 멤버변수, setter 메소드
- @Autowired
- Spring에서 지원하는 어노테이션
- 찾는 순서: 타입 -> 이름 -> @Qualifier -> 실패
- 주입하려고 하는 객체의 타입이 일치하는지를 찾고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
-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@Autowired에 위치한 속성명이 일치하는 bean을 컨테이너에서 찾음
- <context:annotation-config/> 구문을 xml 설정파일에 추가해야함
- 사용할 수 있는 위치: 멤버변수, setter메소드, 생성자, 일반 메소드
- @Inject
- Java에서 지원하는 어노테이션
- 특정 프레임워크에 종속적이지 않음
- 찾는 순서: 타입 -> @Qualifier-> 이름 -> 실패
- @Aurowired와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찾는 순서가 다름
- @Injec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maven이나 gradle에 javax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추가해야함
- 사용할 수 있는 위치: setter 메소드, 생성자, 일반 메소드
'대덕공부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- CoreContainer (0) | 2022.07.14 |
---|---|
RedirectAttributes, Model, ModelAttribute (feat.dditStudentCont) (0) | 2022.07.12 |
**Spring Menual (0) | 2022.07.11 |
보안프레임워크2 (0) | 2022.07.06 |
WAS와 Server의 차이? 그리고 Web Container 란? (0) | 2022.07.05 |